본문 바로가기
닮고싶은 인테리어 디자인

감각적인 바닥인테리어 따라하기: 믹스앤매치 기법

by _yyeonii_32 2023. 7. 23.

아파트, 카페 등 여러 공간에서 바닥을 활용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디자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파트의 경우 여러 디자인을 통해 주방 및 거실 공간을 미묘하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추세는 주거 인테리어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믹스 앤 매치 바닥 인테리어 기법을 통해 공간 생활 영역을 부드럽게 구분하며 시각적인 효과를 준 사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마감재를 활용한 공간분리 방법

좁은 방이나, 카페 등 여러 공간에서 영역을 분리하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는 마감재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서로 다른 마감재를 한 공간에 사용하여 시각적인 분리를 주는 방법입니다. 그중 바닥 마감재를 통해 믹스 앤 매치 기법으로 감각적인 공간을 연출한 사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파리에 위치한 아파트

주방
콘크리트, 나무 바닥재를 활용한 주방 인테리어

파리에 위치한 아파트로 리모델링 후의 모습입니다. 바닥 마감재로는 콘크리트와 원목이 사용되었습니다. 세련된 콘크리트 바닥과 아늑한 느낌의 원목바닥으로 도시적이면서 내추럴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콘크리트와 우드 재질은 차가운 이미지와 따뜻한 이미지를 동시에 연출할 수 있어서 주거, 상업 공간 등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스페인의 아파트

주방-인테리어
모자이크 타일을 활용한 바닥 인테리어

해당 아파트는 거실과 부엌이 합쳐진 개방형 공간입니다. 각각의 공간을 방해하지 않고 휴식과 음식 준비를 위한 구역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자인의 차이를 주었습니다. 바닥재로는 타일을 동일하게 사용하였으나 복도, 부엌, 거실의 바닥에는 다른 디자인과 색상을 사용하여 영역을 구분하였습니다.

 

공통적으로는 타일의 마감재와 베이지톤 베이스를 사용해 주변 가구와 통일감을 형성하였습니다. 이후 빨강, 녹색, 파랑의 포인트 색상을 각 영역마다 다르게 사용하며 디자인을 형성하여 공간의 중심을 잡으며 풍부하게 연출합니다.

 

영국의 어느 아파트

서로-대비되는-색상과-재질의-주방
원목, 타일을 활용한 바닥 인테리어

주방의 한 공간에 바닥재 및 색상의 차이를 주어 다른 공간으로 인식됩니다. 개수대가 위치한 한쪽에는 검은색 화강암 타일과 목재 캐비닛을 사용하며 이 반대편에는 하얀 벽과 원목 가구, 바닥재를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채도와 명도의 색상을 연출하며 바닥 디자인 또한 쉐브론 패턴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이질적인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스페인의 어느 아파트

테라코타-시멘트와-타일을-사용한-주방
테라코타 시멘트, 타일 바닥을 사용한 바닥 인테리어

해당 아파트는 과거 화재 피해를 입은 사례로 색상을 칠하여 그을린 실내 내부에 생기를 불어넣었습니다. 그중 주방은 중심을 테라코타 색상의 시멘트를 바닥, 벽, 천정을 연속적으로 칠하여 산뜻한 느낌을 연출합니다. 주변 공간의 바닥재로는 타일과 카펫을 깔아 조화를 이룹니다. 타일 바닥과 시멘트바닥이 서로 대조를 이루며 주방 공간이 강조됩니다.

 

스페인의 어느 아파트

주방-및-거실
콘크리트, 원목 바닥을 활용한 인테리어

콘크리트와 원목 재료를 사용하여 대조적인 분위기가 연출됩니다. 차가운 콘크리트 재질은 주방을 세련되면서 깔끔한 이미지를 연출하나 그 옆의 거실엔 밝은 흰색 벽과 따뜻한 원목 바닥을 사용하여 아늑하면서 내추럴한 분위기가 연출됩니다. 

 

 

함께보면 좋은 내용

 

 

인테리어 바닥재 종류 및 특징: 목재

안녕하세요. 인테리어를 전공한 yyeon입니다! 오늘은 인테리어 사례가 아닌 이론을 가져왔습니다. 며칠 전 포스팅했던 인테리어 공간분할에 이어서 이번에는 바닥재 종류와 그에 따른 특징에 대

aboutspacethings.com

 

 

인테리어 바닥재 종류 및 디자인 기법 최종

안녕하세요~ 인테리어를 전공한 yyeon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저번 '인테리어 바닥재 종류 및 특징 목재'편에 이어서 나머지 바닥재인 석재부터 점토 및 코르크까지 해당하는 종류와 특징에 대해

aboutspacethings.com

 

 

 

 

출처: dezeen

반응형

댓글